바로, 환경의 날입니다.🌎
<aside> 🌎 환경의 날은 매년 6월 5일, 국민의 환경보전 의식 함양과 실천의 생활화를 위해 제정한 국가기념일입니다. 환경의 날을 맞이해 단 하루만이라도 환경을 위한 작은 행동을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우리가 함께 하루하루 작은 실천을 해낸다면 분명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거라고 믿습니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는지 잘 모르시겠다면, 오늘의 이야기에서 실천 꿀팁을 꼭 알아가보세요!💙
</aside>
= 우리의 미래? 🌏**
2026년 수도권(그 외 지역 2030년)직매립 금지 시행에 수도권 쓰레기 매립장은 초 비상이 걸렸습니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이 매립장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발생되는 모든 폐기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곳인데요. 수도권 매립지 전체적으로 봤을 때 남아있는 매립 공간은 5%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 인천시는 2025년 기한 이후론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수도권은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쓰레기 매립지 부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죠. 하지만 사람들은 쓰레기 매립장을 기피시설로 보기 때문에, 높은 지원금과 수천억의 보상금을 걸었음에도 아직까지 새로운 부지가 결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문제 X 문제...😫**
더 큰 문제는 쓰레기 매립장 뿐만 아니라, 2026년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서 쓰레기 소각장 또한 부족한 현실이라는 점입니다. 직매립이 금지되면 쓰레기를 그대로 묻지 않고 소각장에서 소각한 이후 매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방식은 쓰레기의 부피를 원래의 15% 정도로 줄여주기 때문에 매립장의 수명을 늘려준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수도권은 2026년부터 전국적으로는 2030년부터 시행됩니다. 전국적으로 소각장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실은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소각장이 증설되기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랜드마크로!?👏⛷️
출처 : www.a-r-c.dk
출처 : www.archello.com
쓰레기 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곳곳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요. 그중 대표적으로 덴마크 코펜하겐 도심에 대규모 자원회수시설인 아마게르바케(쓰레기 소각장 겸 열병합발전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덴마크는 지리적 특성으로 온통 평지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때문에 덴마크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등산이나 스키와 같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서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다른 나라로 이동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를 역발상 하여 자원회수시설에 최초의 인공산과 스키장을 건설하여 주민들의 반감이 완전히 사라졌는데요. 오히려 빨리 지어 스키장을 이용하기를 바라는 시민의 목소리가 커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조성된 아마게르 바케는 코펜하겐 도시의 랜드마크가 되어 전 세계 국민 모두한테 사랑받는 명소가 되었습니다.⛷️
쓰레기 꿀팁!🤓